신규 매장을 열었는데 손님은 뜸하고, 온라인 홍보 게시글에는 “서울에도 생겨주세요!”라는 댓글만 잔뜩 달린다. 온라인 광고 클릭은 많았지만, 알고 보니 절반 이상이 서비스 지역이 아닌 곳에서 들어온 방문자였다. 로컬 브랜드 담당자라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장면입니다.
이럴 때 드는 생각은 늘 같죠. “우리 브랜드, 진짜 손님은 어디에 있는 걸까?” 바로 여기서 필요한 게 방문자 지역 데이터입니다. 특히, 특정 지역의 인구 대비 방문자 비율까지 확인할 수 있다면? 오늘 탐방설명서에선 해당 데이터를 알차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과 실제로 지역별 방문자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난 기업 3곳을 살펴봅니다.
💁♂️ 탐방객 : 고유 방문자 지역은 어떻게 계산한 값인가요?
혁신의숲의 고유 방문자 지역 데이터는 ‘인구 대비 방문자 비율’로, 해당 지역의 방문자 수를 인구 수로 나눈 값입니다. 혁신의숲에서는 1위부터 최대 100위까지 확인할 수 있으며, 지역은 광역 및 기초단위까지 구분되어 제공해요.
🌿 로컬 마케팅에 이렇게 활용해보세요!
핵심 지역 식별 : 인구 적은 지역이라도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가 높은 곳을 찾을 수 있어요. 가령 "생각보다 A지역에서 우리 서비스에 대한 호응이 있네" 같은 통찰이 가능하죠.
지역별 마케팅 예산 최적화 : 프로모션을 전국 단위로 일괄 집행하기보다, 비율이 높게 나타난 지역에 집중 투자할 수 있어요. 한정된 예산으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죠.
지역별 특성 맞춤 콘텐츠/메시지 제작 : 수도권 방문자가 많다면 대중성 있는 메시지를, 특정 지방 도시에서 강세라면 그 지역에 맞춘 로컬 캠페인을 기획할 수 있어요.
이외에도 잠재 시장을 조기 발굴할 수 있어요.
1위 서울특별시 관악구 두잇은 팀매칭 배달앱 '두잇'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1인 가구를 위한 배달 앱으로 브랜딩하는 두잇의 고유 방문자 지역 순위는 서울특별시 관악구가 1위, 뒤이어 동작구와 영등포구가 순위를 이었습니다.
[기업 보러가기]를 클릭하면 혁신의숲 조회 가능 기업수가 차감됩니다.
1위 서울특별시 강남구 매스프레소는 AI 기반 수학 학습콘텐츠 플랫폼 '콴다', 비대면 1:1 과외 서비스 '콴다과외' 등을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매스프레소의 고유 방문자 지역 순위로는 서울특별시 강남구가 1위, 뒤이어 서초구와 양천구가 순위를 이었습니다.
[기업 보러가기]를 클릭하면 혁신의숲 조회 가능 기업수가 차감됩니다.
1위 서울특별시 용산구 의식주컴퍼니는 비대면 세탁 플랫폼 '런드리고'를 운영하는 기업입니다. 의식주컴퍼니의 고유 방문자 지역 순위로는 서울특별시 용산구가 1위, 뒤이어 강남구와 서초구가 순위를 이었습니다.